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미래에셋 개인연금, 2025년에 가입하려면 어떻게 할까?

by 주식초짜베이 2025. 3. 30.
반응형

미래에셋 개인연금 가입하려고 알아보는데, 노후 준비하면서 세액공제까지 챙길 수 있다니까 관심 가더라고요.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랑 앱 둘러보다가 가입 방법이 꽤 직관적이라는 걸 알았어요. 연금저축펀드 중심으로 정리해봤는데, 막상 해보면 어렵지 않더라고요.

 

가입 방법, 이렇게 하면 돼요

  1. 홈페이지로 가입하기
   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 들어가면 ‘연금저축계좌’ 메뉴 바로 보여요.
    • ‘비대면 계좌개설’ 클릭하고 로그인(아이디 없으면 회원가입 먼저).
    • 본인 인증(휴대폰이나 공동인증서) 하고 약관 동의해요.
    • 연간 납입액(최대 1,800만 원, 다른 연금 합산) 입력하고 연금 개시일(만 55세 이후, 5년 이상) 설정하면 돼요.
    • 계좌 개설 끝나면 계좌번호 주니까 거기로 입금하면 시작이에요.
      저는 밤에 느긋하게 하니까 편하더라고요.
  2. 모바일 앱으로 가입하기
    ‘M-STOCK’ 앱 깔고 들어가면 더 빨라요.
    • 앱 열고 ‘계좌개설’ 찾아서 ‘연금저축계좌’ 선택해요.
    • 이름, 주민번호 넣고 신분증 촬영해서 인증하면 진행돼요.
    • 납입 금액이랑 기간 설정하고 결제 수단(자동이체 추천) 연결하면 끝.
    • QR코드로 eSIM처럼 바로 설정할 수 있는 옵션도 있더라고요, 근데 이건 폰 따라 달라요.
  3. 영업점 방문도 가능
    온라인 귀찮으면 근처 미래에셋증권 지점 가도 돼요.
    • 신분증 챙겨서 가서 “개인연금 가입하고 싶어요” 하면 직원이 다 알려줘요.
    • 서류 쓰고 상담 받으면서 조건 맞추면 그 자리에서 개설돼요.
      시간 넉넉하면 이게 마음 편하더라고요.

조금 챙겨야 할 점

  • 세액공제 받으려면 연간 400만 원(총급여 1.2억 초과 땐 300만 원)까지 납입 추천해요.
  • 중도 해지하면 세금 불이익(기타소득세 16.5%) 있으니 장기 계획 잘 세워야 해요.
  • 자동이체 설정하면 깜빡 안 하고 편하더라고요.

고민돼요
저는 앱으로 할까 홈페이지로 할까 살짝 망설였어요. 앱이 빠르긴 한데, 홈페이지가 화면 커서 조건 꼼꼼히 볼 수 있더라고요. 영업점은 직접 물어볼 수 있어서 좋긴 한데 시간 내야 하니까요. 여러분은 어디로 가입했어요? 온라인 하다가 막히면 고객센터(1588-6800) 전화 괜찮을까요?

 

바로 확인하기

 

반응형